티스토리 뷰
목차
퇴사후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대해 궁금해서 들어오셨죠? 잘 들어오셨습니다! 실업급여는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진행이 가능하며, 고용노동부에서 인터넷 신청 방법 매뉴얼까지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신청하실 수 있을겁니다.
아래 과거 매뉴얼 띄워드릴테니 바로 확인하시고, 그대로 이행해보시길 바랍니다.
실업급여
실업급여란 근로자 등이 생계 걱정없이 구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구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, 기준에 맞는 재취업활동이 필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.
퇴사후 실업급여 신청방법
퇴사후 실업급여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은 절차대로 이행하시면 됩니다.
1)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및 사업장 피보험자격신고 현황 확인
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회사에서 퇴사처리를 해줘야 하는데요. 회사에서는 직원이 퇴사 후 피보험자격상실 처리, 이직확인서를 고노부에 제출하게 되는데, 해당 사실을 온라인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절차는 네이버 "고용산재토탈서비스" - "정보조회" - "민원조회" - "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" & "사업장 피보험자격신고현황" 입니다.
2) 고용24에서 구직신청
그 다음 절차는 고용24에서 구직신청을 해야합니다. 고용24에 들어가신다음에, 로그인을 먼저 하시고요. "채용정보" - "구직신청" 에 들어가시면 됩니다.
3) 온라인 교육 신청
다음으로, 온라인 교육을 신청해야하는데요. 고용24 홈페이지에서 "실업급여" - "수급자격" - "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" 에 들어가시면 교육을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.
4)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
다음 단계는, 수급자격 신청서를 인터넷을 통해 제출하면 되는데요. 신청서 작성 후에,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 예정일 입력 후 전송까지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.
5)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해서 신고
마지막으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하여 신고까지 하면, 실업급여 신청이 완료가 됩니다.
마무리
지금까지 실업급여란 무엇인지, 퇴사후 실업급여 신청방법 등에 대해 살펴봤습니다.
실업급여는 이직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 및 수급을 완료해야 되는데요. 만약 12개월이 경과하면 더이상 지급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웬만하면 퇴사후 즉시 신청을 하라고 당부말씀 드리고 싶습니다.